목차 

1 비트코인 반감기의 정의 
2 반감기주기와 보상 감소 
3 반감기의 목적과 의의 
4 반감기의 비트코인 가격 
5 반감기의 영향과 채굴생태계
6 향후 반감기 일정과 전망
7 현재 전체 공급량의 92% 
8 2030년이면 총량의 99% 공급끝나

 

2024년은 비트코인 반감기이다. 매년 4년마다 비트코인은 반감된다. 채굴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구조다. 그래서 비트코인은 양이 정해진 희소성이 있는 자산이다. 반감기, 희소성이 디지털 금으로서 비트코인의 가치를 만들어 낸다. 

 

2024년 기준 비트코인은 약 92%가 채굴되었다. 현재의 반감기가 지속되어서 2030년이면 전체 비트코인의 99%가 확정되며, 2140년이면 비트코인의 채굴은 마무리된다. 따라서 비트코인의 공급은 실질적으로 2030년이면 마무리 되는 구조다. 

 

자산으로서 가격변동이 심하지만, 디지털 골드로서 비트코인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030년이면 이제 더이상의 비트코인 공급은 없다는 심리적 공급절벽이 지배할 가능성이 크다. 

 

비트코인 또한 자산이라서 가격변동은 불가피하다. 특히 가상자산으로서 큰 변동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변동성보다 우리가 더 주목해야하는 포인트는 자산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자산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은 한 부분을 차지하는 자산구성요소이다. 미국 지수를 장기 분할 매수하듯이 비트코인을 장기 분할 투자해야하는 이유다. 

 

 

 

1. 비트코인 반감기의 정의

 

 

 

비트코인 반감기(Bitcoin Halving)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채굴자들에게 주어지는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이벤트를 말한다. 비트코인은 채굴자들이 블록을 생성할 때마다 일정량의 비트코인을 보상으로 받는 구조인데, 이 보상이 약 4년마다 반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반감기는 비트코인 프로토콜에 내장된 메커니즘으로, 사토시 나카모토가 설계 단계부터 계획한 것이다.

 

 

2. 반감기 주기와 보상 감소

 

 

비트코인 반감기는 매 210,000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발생한다. 비트코인 블록은 평균 10분마다 하나씩 생성되므로, 대략 4년에 한 번꼴로 반감기가 도래하는 셈이다. 최초 비트코인 채굴 보상은 블록당 50BTC였다. 이후 첫 번째 반감기인 2012 11월에는 25BTC로 줄었고, 2016 7월 두 번째 반감기 때는 12.5BTC로 감소했다. 2020 5월에는 세 번째 반감기가 발생하여 현재는 블록당 6.25BTC가 보상으로 주어진다.

 

 

3. 반감기의 목적과 의의

 

반감기의 주된 목적은 비트코인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데 있다. 비트코인은 총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는데, 반감기를 통해 신규 발행량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감으로써 희소성을 높이고 가치를 유지하려 하는 것이다. 이는 금과 같은 제한된 자원의 속성을 모방한 것으로,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만드는 핵심 요소 중 하나다.

 

 

4. 반감기와 비트코인 가격

 

 

역사적으로 반감기 이벤트는 비트코인 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왔다. 신규 공급량이 줄어들면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이는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과거 반감기 직후에는 비트코인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사례가 많다. 다만 이는 시장 심리와 투자 수요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반감기가 가격 상승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5. 반감기의 영향과 채굴 생태계

 

 

반감기는 비트코인 채굴 생태계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블록 보상이 줄어들면 채굴자들의 수익성이 감소하므로, 채굴 난이도 조정이나 효율성 향상 등을 통해 이에 적응해야 한다. 때로는 채산성이 맞지 않는 채굴자들이 시장에서 이탈하기도 한다. 한편, 반감기로 인한 공급 감소는 장기적으로 채굴자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가격 상승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6. 향후 반감기 일정과 전망

 

 

 

다음 반감기는 2024년 경 예정되어 있으며, 이후 2140년까지 약 30번의 반감기가 더 남아있다. 2140년 마지막 반감기가 일어나면 비트코인의 발행량은 21,000,000BTC에 도달하고, 더 이상의 신규 발행은 없게 된다. 이후에는 거래 수수료만이 채굴자들의 보상이 될 전망이다. 비트코인 생태계는 반감기를 거듭하며 점진적으로 진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 반감기는 디지털 자산의 화폐 정책을 구현한 선구적 사례로 평가받는다. 중앙은행의 통제 없이도 발행량을 조절하고 인플레이션을 관리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나아가 반감기는 비트코인의 희소성과 가치 저장 기능을 뒷받침하는 핵심 메커니즘이다. 금과 같은 제한된 자원의 속성을 구현함으로써 '디지털 금'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다만 반감기가 비트코인 가격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과거 사례만으로 미래를 단언할 순 없기 때문이다. 또한 반감기 자체가 비트코인의 본질적 가치를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비트코인의 진정한 가치는 그것이 제공하는 효용, 즉 탈중앙화되고 검열 저항적인 가치 교환 수단으로서의 기능에서 비롯된다.

 

비트코인 반감기는 단순한 기술적 이벤트를 넘어, 화폐 발행과 유통에 대한 근본적인 사고의 전환을 촉발한 혁신이다. 중앙 권력의 통제 없이도 화폐 정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도 반감기는 비트코인 생태계의 중요한 이정표로 기능할 것이며, 디지털 자산의 미래를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우리는 반감기를 통해 비트코인의 진화와 성장, 그리고 화폐의 미래를 조망해볼 수 있을 것이다.

 

 

7. 현재 전체 공급량의 92%

 

 

2023 4 9일 기준, 채굴된 비트코인의 총량은 약 19,342,043 BTC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은 2,100 BTC로 제한되어 있으며, 이 중 약 92.1%가 이미 채굴되었습니다. 나머지 약 165 BTC는 앞으로 향후 약 118년 동안 (2140년까지) 점진적으로 채굴될 예정입니다.

 

채굴된 비트코인의 정확한 수량은 실시간으로 변동하므로, 최신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트코인 블록체인 탐색기 웹사이트(blockchain.info, blockchair.com )에서 현재까지 채굴된 비트코인의 총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채굴량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비트코인의 설계 방식인 반감기(Halving)에 의해 결정됩니다. 21만 블록( 4)마다 블록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신규 비트코인의 발행량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설계는 비트코인의 희소성을 높이고, 장기적인 가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것입니다.

 

 

8.2030년이면 총량의 99% 공급끝나 공급절벽

 

  

현재 예정된 향후 반감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 2024 5 (예상): 블록 보상이 6.25 BTC에서 3.125 BTC로 감소

- 2028 5 (예상): 블록 보상이 3.125 BTC에서 1.5625 BTC로 감소

 

2030년은 2028년 반감기 이후에 해당, 따라서 2030년까지는 블록 보상이 1.5625 BTC로 유지될 것이다.

 

2030년까지 채굴될 비트코인의 대략적인 양을 추정해보면:

 

- 2024년 반감기까지: 656 ( 1.8) 동안 하루 900 BTC 채굴 (6.25 BTC * 144 블록/) = 590,400 BTC 채굴 예상

- 2024년에서 2028년 반감기까지: 1,460 ( 4) 동안 하루 450 BTC 채굴 (3.125 BTC * 144 블록/) = 657,000 BTC 채굴 예상

- 2028년 반감기부터 2030년까지: 730 ( 2) 동안 하루 225 BTC 채굴 (1.5625 BTC * 144 블록/) = 164,250 BTC 채굴 예상

 

따라서 2030년까지 추가로 채굴될 비트코인의 양은 대략 1,411,650 BTC (590,400 + 657,000 + 164,250)로 추정된다.

 2030년까지 총 채굴량은 약 20,753,693 BTC (19,342,043 + 1,411,650)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비트코인 총 발행량의 약 98.8%에 해당된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이 뭐에요? 투자해야하나요?  (0) 2024.04.04
목차 
1 비트코인 이더리움 어떻게 거래하지?
2 가상화폐 거래소 이용하기 
3 개인간 거래 

 

비트코인 이더리움 어떻게 거래하지?

비트코인이 1억원을 넘어섰습니다. 

20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 거래에 관심을 갖게되면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같은 가상화폐 거래 방법에 대해서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증권사 계좌처럼 가상화폐 거래소를 이용하는 방법과 직접 거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가상화폐 거래소 이용하기 

가상화폐 거래소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편리한 방법입니다. 다음 단계를 따르시면 됩니다.

마치 주식 거래 할 때 증권사를 이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은행 계좌, 신분증이 있으면 계좌 개설이 모바일로 모두 가능합니다.

 

 

a. 거래소 선택 및 회원가입

- 업비트, 빗썸 등 국내 주요 거래소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선택한 거래소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실명 인증 및 본인 확인을 위한 절차를 완료해야 합니다.

 

b. 원화 입금

-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입금 계좌로 원화를 입금합니다.

- 빗썸은 농협계좌로 거래가 가능합니다. 

- 입금이 완료되면, 거래소 내 원화 잔고에 입금액이 반영됩니다.

 

c. 비트코인 구매

- 원화 잔고를 이용하여 비트코인을 구매합니다. 시장가 또는 지정가 주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구매한 비트코인은 거래소 내 지갑에 보관됩니다.

 

d. 비트코인 출금 및 보관

- 필요한 경우,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개인 지갑으로 출금할 수 있습니다.

- 개인 지갑은 하드웨어 지갑, 소프트웨어 지갑, 종이 지갑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비트코인

 

2. 개인 간 거래(P2P)

개인 간 거래는 중개자 없이 개인들 간에 직접 비트코인을 사고파는 방식입니다.

 

a. P2P 거래 플랫폼 이용

- 로컬비트코인즈, 팍스풀 등의 P2P 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거래 상대방을 찾습니다.

- 거래 조건(가격, 수량, 결제 방식 등)을 협의하고, 거래를 진행합니다.

 

b. 직접 거래

-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거래 상대방을 직접 찾아 거래합니다.

- 안전한 거래를 위해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상대방과 거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트코인 거래 시 주의사항:

- 가상화폐 시장은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에 유의해야 합니다.

- 개인정보와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거래소 계정 및 개인 지갑의 보안에 신경 써야 합니다.

- 개인 간 거래 시, 거래 상대방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안전한 거래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가상화폐에서 가장 시총이 높고 거래가 많은 메이저 코인이다.

그러나 둘은 개발 목적과 사용처가 다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개발 목적

- 비트코인: 탈중앙화된 디지털 화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중개자 없이 개인 간 거래를 가능케 하고, 이중 지불을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이더리움: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DApps)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스마트 계약 기능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스마트 계약

- 비트코인: 스마트 계약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복잡한 계약 조건을 구현하기 어렵습니다.

- 이더리움: 튜링 완전한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여, 다양한 조건과 로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DApps 개발과 실행이 가능합니다.

 

이더리움 챠트

 

3. 블록 생성 시간

- 비트코인: 블록 생성 시간은 평균 10분입니다.

- 이더리움: 블록 생성 시간은 평균 15초입니다. 더 빠른 거래 처리가 가능합니다.

 

4. 합의 알고리즘

- 비트코인: 작업 증명(Proof of Work, PoW)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 이더리움: 현재는 PoW를 사용하지만, 향후 지분 증명(Proof of Stake, PoS)으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5. 공급량

- 비트코인: 총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 이더리움: 총 발행량에 제한이 없으며, 현재 연간 약 1,800만 개의 이더리움이 발행되고 있습니다.

 

6. 활용 분야

- 비트코인: 주로 가치 저장 수단, 투자 자산, 결제 수단 등으로 활용됩니다.

- 이더리움: DeFi (탈중앙화 금융), NFT (대체 불가능 토큰), 다양한 분야의 DApps 등에 활용됩니다.

 

 

 

요약하면,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된 화폐 시스템에, 이더리움은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과 결제에,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과 DApps 개발에 더 적합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총 발행량이 제한되고, 반감기를 거치면서 채굴 숫자도 줄어들기 때문에 금을 대체하는 디지털 골드로서 가치가 높다. 그래서 보통 가상자산에 투자할 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50대 25 비율로 투자하라는 조언을 자주 듣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25%는 알트코인 투자로 대박을 노리는 투자자가 많다. 

 

 

https://www.bithumb.com/react/trade/order/ETH-KRW

 

쉽고 안전한 거래는 빗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알트코인 거래, 자동매매, 스테이킹, 예

쉽고 안전한 거래는 빗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알트코인 거래, 자동매매, 스테이킹, 예치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www.bithumb.com

 

목차 
1 비트코인 1억원 돌파 
2 한국에서 거래량이 많은 가상화폐 9 
3 비트코인
4 테더
..............

 

한국에서 거래량이 많은 가상화폐 9가지                                                                    

 

비트코인이 1억원을 넘어섰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등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있다.

비트코인은 일부의 주장처럼 2억, 20억원까지 상승할 수 있을가?

비트코인 등 한국에서 거래량이 많은 가상화폐를 알아보자.

 

 

 

1 비트코인

 

- 배경: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의 개발자에 의해 만들어진 첫 번째 탈중앙화된 디지털 화폐

- 목적: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의 대안으로, 개인 간 거래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개발

- 특징 및 쓰임새: 제한된 발행량, 높은 보안성, 투자 및 가치 저장 수단으로 활용

 

 

2 테더

 

- 배경: 2014년 비트파이넥스 거래소에서 개발한 스테이블코인

- 목적: 1 USDT 1 US 달러에 고정하여 가상자산 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거래를 가능하게 함

- 특징 및 쓰임새: 달러 가치 연동, 거래 및 가치 저장 수단으로 활용

 

3 리플

- 배경: 2012년 크리스 라센, 젭 맥캘렙, 아서 브리토에 의해 개발된 실시간 총액 결제 시스템

- 목적: 국제 송금과 결제를 빠르고 저렴하게 처리하기 위해 개발

- 특징 및 쓰임새: 빠른 거래 속도, 낮은 수수료, 금융 기관 간 결제 및 송금에 활용

 

4 플레어

- 배경: 2019년 플레어 네트워크 팀에 의해 개발된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 목적: 리플(XRP)의 한계를 보완하고,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

- 특징 및 쓰임새: 튜링 완전성, 높은 확장성,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활용

 

5 도지코인 

 

- 배경: 2013년 잭슨 팔머와 빌리 마커스에 의해 개발된 밈(Meme) 기반 암호화폐

- 목적: 재미와 유머를 통해 암호화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개발

- 특징 및 쓰임새: 빠른 거래 속도, 낮은 수수료,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팁이나 기부에 활용

 

6 비트코인 캐시

- 배경: 2017년 비트코인으로부터 하드포크한 암호화폐

- 목적: 비트코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

- 특징 및 쓰임새: 더 큰 블록 크기, 빠른 거래 속도, 일상적인 거래 및 결제에 활용

 

7 솔라나

- 배경: 2017년 아나톨리 야코벤코에 의해 개발된 고성능 블록체인 플랫폼

- 목적: 높은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통해 대규모 분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

- 특징 및 쓰임새: 초고속 처리 속도(최대 65,000 TPS), 낮은 수수료, DeFi NFT 프로젝트에 활용

 

8 주피터

- 배경: 2021년 주노(Juno) 네트워크의 DEX(탈중앙화 거래소)로 개발

- 목적: 코스모스(Cosmos) 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토큰 간 스왑 및 유동성 공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

- 특징 및 쓰임새: 자동화된 마켓 메이커(AMM) 모델, 낮은 수수료, 코스모스 생태계 내 DeFi에 활용

 

9 이더리움

- 배경: 2015년 비탈릭 부테린에 의해 개발된 분산형 플랫폼

- 목적: 스마트 계약 기능을 통해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s)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

- 특징 및 쓰임새: 튜링 완전성, 높은 개발자 생태계, DeFi, NFT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https://www.bithumb.com/reac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