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3 월요일 주요 이슈 정리. 고금리 압박, 중동긴장은 지속. 럼프스킨병, 사우디경제협력, 중국의 흑연수출제한 등이 주요이슈이다.
럼프스킨병
서산에서 발생한 소 럼프스킨병이 경기도와 충남 소재 농장으로 확산되고 있다.
사흘새 10건으로 확산되고있다.
럼프스킨병은 아시아 아프리카등 전세계적으로 발병하며, 소 양 등에게 발병, 전염된다.
최근까지 한국 발병 사례는 없었다.
치사율은 높지않은 편이다.
증상
발진, 발열과 부종이 동반한다
치료
심하지 않은경우 자연 치료된다. 발열이 심한경우 수액을 처방한다.
예방
제1종 가축전염병이다. 연2회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관련 기업
이글벳, 중앙백신, 대성미생물, 우진비앤지 등이 있다.
23일 이글벳, 중앙백신이 강한 상승세로 출발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92526&plink=ORI&cooper=NAVER
소 럼피스킨병 확진 5건 추가…사흘 새 10건으로 늘어
경기와 충남 소재 축산농장 모두 다섯 곳에서 소 바이러스성 질병인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가 추가로 나왔습니다. 이로써 국내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는 지난 20일 첫 발생 이후 사흘 만에 모두 1
news.sbs.co.kr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36177
'소 럼피스킨병' 벌써 10건 확진...동물용 백신 관련주는? - 국제뉴스
국내에서 처음으로 소 바이러스성 질병인 럼피스킨병이 확인된 이후 사흘 만에 확진 사례가 10건으로 늘어나면서 추가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정황근 럼피스킨병 중앙사고수습본부장(농림축산
www.gukjenews.com
정책분야별 자료
www.mafra.go.kr
사우디 네옴시티
배경
윤석열 대통령과 경제사절단이 사우디를 방문했다. 양국간 에너지 바이오 등 경제협력을 위한 다양한 MOU를 체결했다. 네옴시티 관련해서 한국은 투자를 원하고 있다.
관련기업
SNT에너지 등이 지난 금요일 급등했으나, 23일 월요일 오전 코오롱글로벌, 우듬지팜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흑연
배경
중국이 흑연 수출을 규제한다는 소식이다. 흑연물품을 12월1일부터 수출을 임시 제한하기로 했다.
흑연은 2차전지의 핵심인 음극재의 핵심원료이다.
한국은 흑연을 중국으로 수입해서 사용하고있다.
중국은 전세계 흑연생산의 60%, 2차전지용 흑연생산의 90%를 담당하고있다.
한국에서는 포스코퓨처엠이 음극재 생산을 일부 하고 있으나 제한적이다.
관련기업
상보가 21일부터 강세다. 엘엠에스, 크리스탈신소재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04954
2차전지주 '아킬레스건' 건드렸다…중국 한마디에 '급락' [최만수의 산업과 주식 사이]
중국이 2차전지 핵심 원료인 흑연 수출을 규제한다는 소식에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 등 2차전지 관련주가 일제히 급락했다. 흑연 수입을 중국에 90% 이상 의존하는 국내 배터리 기업들엔 비상이
n.news.naver.com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하세븐의 주식 트레이딩 노하우 2 (2) | 2023.11.01 |
---|---|
대가의 매매법 마하세븐 한봉호 교수님 (0) | 2023.10.31 |
주식 트레이딩 방법 (1) | 2023.10.29 |
1027금 단타 재료 테마 (0) | 2023.10.27 |
1026 나스닥 급락... 코스피지수 2300붕괴 (2) | 2023.10.26 |